HOME
사업장의 안전보건관리는 인본주의 차원에서 뿐만 아니라 재해로 인한 경제적 손실을 방지하고 직원의 생산성 향상을 위해 반드시 지켜져야 할 사항입니다. 또한, 안전보건에 대한 노조의 요구와 정부규제가 강화되는 대내외적인 환경도 안전보건의 중요성을 증가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습니다.
안전보건경영시스템 도입은 조직이 안전하고 건강한 작업환경을 제공하고 업무와 관련된 상해 및 건강상 장해를 방지하며 지속적으로 안전보건 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입니다.
사업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위험을 사전 예측 및 예방하여 궁극적으로 기업의 이윤창출에 기여하고 조직의 안전보건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요구사항을 규정한 국제표준입니다.
4. 조직의 상황
4.1 | 조직과 조직 상황의 이해 |
4.2 | 근로자 및 그 밖의 이해관계자의 요구와 기대이해 |
4.3 | 안전보건경영시스템의 적용범위 결정 |
4.4 | 안전보건경영시스템 |
5. 리더십과 근로자 참여
5.1 | 리더십과 의지표명 |
5.2 | 안전보건 방침 |
5.3 | 조직의 역할, 책임 및 권한 |
5.4 | 근로자 협의 및 참여 |
6. 기획
6.1 | 리스크와 기회를 다루는 조치 |
6.2 | 안전보건 목표와 목표달성 기획 |
7. 지원
7.1 | 자원 |
7.2 | 역량/적격성 |
7.3 | 인식 |
7.4 | 의사소통 |
7.5 | 문서화된 정보 |
8. 운용
8.1 | 운용기획 및 관리 |
8.2 | 비상시 대비 및 대응 |
9. 성과평가
9.1 | 모니터링, 측정, 분석 및 평가 |
9.2 | 내부심사 |
9.3 | 경영검토 |
10. 개선
10.1 | 일반사항 |
10.2 | 부적합 및 시정조치 |
10.3 | 지속적 개선 |